전체 글 177

multi-thread 에서 두 가지 task를 번갈아가도록

공유 객체 여러 개의 스레드가 동일한 객체를 참조 및 공유하고 있을때, 해당 객체를 공유객체 공유 변수 사용하기 💡 ReentrantLock이나 Synchronized키워드 없이 번갈아가려고 하면 ”공유변수” 를 사용하면 된다. Busy Waiting이나 Spinlock과 같은 형태를 포함할 수 있기 때문에 CPU 자원을 비효율적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코드의 복잡성을 증대시키고, 잘못할 경우 데드락(Deadlock)이나 라이브락(Livelock)과 같은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public class WorkObject { private static int counter = 0; private volatile int turn = 1; public void methodA() { for (int i ..

Language Study/Java 2024.03.18

스타트업 한 달치 밀린 회고

그간 기술 블로그 관리를 많이 못했다. 단순히 하루하루 돌아가는 코드를 만들기 위해서 노력했던 것 같다.스프링 공부를 실질적으로 많이 해보지 않은 채로, (스프링 기초 MVC패턴공부만 하고 갔다) 정말 DTO와 Entity의 구분조차 못한 채로 시작된 인턴이, 이제는 간단한 도메인 분석, 도메인 설계, 프록시에 관한 것들도 이해하기 시작했다.이번 글은 정말 대략적인 회고, 했던 것들에 대한 정말 간단한 기록들이다.기록하지 않으면 휘발된다. 정말 그간 남들에 비해 뒤쳐져있다는 생각으로 달리기만 해서 기록할 시간이 많이 없었다. 그렇게 달리던 과정속에서 기록을 했으면 좋았을 텐데 조금은 아쉽지만, 지금이라도 흐르는 물을 담아보자는 마음으로 써본다.1. 비용계산기 코딩처음 들어가고 1~2주간 회사에 존재하는 ..

스타트업 인턴 2024.03.18

"헬로 스타트업" 세미나

우리는 매주 세미나를 한다. Tech Start-up이란 무엇인가부터 테크 스타트업에서 일한다는 것은 무엇인지, 혁신이란 무엇이며 혁신기업이란 어떤 것인지. 그리고 비지니스적인 것도 배우면서 함께 기술 스택들의 비지니스적인 역할들에 관한 생각을 책을 읽으며 CTO 김태훈 박사님(라이언)과 대화를 나눈다. 스타트업에서의 3개월은 대기업 1년에 비해 더 많은 것을 배운다. 비지니스적으로도 스타트업과 중/소기업,대기업은 정말 상충되는 부분이 많다. 1. 스타트업이란 무엇인가? 라이언이 나누어준 서적에 가장 앞 chapter는, 스타트업이란 것이다. 특히 "tech" 스타트업은 무엇인가? tech스타트업이라하면 가볍게 "음~ 기술적인걸 쓰는 작은 회사겠죠~"라는 생각 무심결에 많이 했던 것 같다. 그러나 단순히..

스타트업 인턴 2024.03.18

[함께자라기] 세미나 1회차

소프트웨어의 본질은 문화라고 생각하신다. 만들 사람은? 곧 문화에서 나온다. 이미 오픈소스… 세미나로 테크니컬한 것들은 알 수 있다. 함께자라기 → 소프트웨어는 “문화”다! 혁신/에자일은 실리콘벨리에서 디폴트다!! 의도적수련 단축키로만 개발 해보자! 새롭게 배우고 싶은 내용? → 이건 무조건 봐야해! 의도적 수련만이 당신이 학습하고 발전할 수 있는 길이다. → 네가 개선이 안된다. 100년 택시를 몰더라도, 길을 잘찾는것 뿐. 레이싱을 잘하는게 아니다. 의도적 수련만이 성장할 수 있다. 의도적 수련의 조건: 내가 무엇을 향상시킬지, 반복적인 훈련&피드백, 정량성이 높아야한다. 사람들은 무언갈 배울 때 가르쳐줄 사람이나 그런 사람들을 찾지만 사실 우리의 능력중에 그렇게 구해진 것은 아무것도 없다. 영화를 ..

스타트업 인턴 2024.03.18

AWS Kinesis - data stream

Kinesis란 실시간으로 데이터 스트림(data stream)을 수집,처리,분석해주는 서비스 📎스트리밍 데이터 데이터 스트림을 수집할 수 있고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를 실시간 처리해 S3와 같은 스토리지에 저장해서 다양한 일괄 처리를 수행한다. Kinesis data stream은 set of shards다! 샤드의 수를 조절하여 스트림을 얼마나 받을지 조절할 수 있다. (DynamoDB) 리샤딩(Resharding) 모든 data record에는 sequence가 존재한다. Capacity Mode on-demand mode: 자동으로 샤드의 개수를 관리한다. provisioned mode: 필요햔 샤드의 개수를 사용자가 명시해야한다. Kinesis & Lambda Lambda Kinesis와 La..

Backend/Infra 2024.03.18

SQS(Amazon Simple Queue Service)에 대해서

Amazon Simple Queue Service(Amazon SQS)는 내구력 있고 가용성이 뛰어난 보안 호스팅 대기열을 제공하며 이를 통해 분산 소프트웨어 시스템과 구성 요소를 통합 및 분리할 수 있습니다. Amazon SQS는 배달 못한 편지 대기열 및 비용 할당 태그와 같은 공용 구성을 제공합니다. 또한 AWS SDK가 지원하는 모든 프로그래밍 언어로 액세스할 수 있는 일반 웹 서비스 API를 제공합니다. 보안 - Amazon SQS 대기열에 메시지를 보내고 받을 수 있는 사람을 제어합니다. 기본 Amazon SQS 관리형 서버 측 암호화(SSE)를 사용하거나 AWS Key Management Service(AWS KMS)에서 관리되는 사용자 지정 SSE 키를 사용하여 대기열에 있는 메시지의 콘텐..

Backend/Infra 2024.03.18

Aws Lambda에 대해서

Kinesis에서 Lambda를 함께 사용하는 이유 자동화된 데이터 처리: Kinesis에서 수집하는 대량의 실시간 데이터 스트림을 Lambda 함수를 통해 자동으로 처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복잡한 서버 관리나 데이터 처리 파이프라인 구축 없이도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분석하고 반응할 수 있다. 유연성과 확장성: Lambda는 요청 수에 따라 자동으로 확장되므로, 데이터 스트림의 크기나 처리 요구가 변동되더라도 문제 없이 대응할 수 있다. 이는 데이터 볼륨이 예측 불가능하거나 급변하는 애플리케이션에 특히 유용하다. 비용 효율성: Lambda는 실행 시간에만 비용을 지불하는 모델을 따르므로, 사용하지 않는 시간에는 비용이 발생하지 않는다. 이는 대량의 데이터를 처리해야 하는 작업에서 경제적으로 매우 유리하..

Backend/Infra 2024.03.18

스트리밍 데이터(Data Stream)

전송된 정보를 수집하거나 정보를 전송할 때 사용되는 디지털 방식으로 암호화 된 일관된 신호의 흐름 짧은 대기 시간 처리를 목표로 계속해서 증분하는 방식으로 내보내지는 대용량 데이터 특징 시간순 중요성: 데이터 스트림의 각 요소에는 타임 스탬프가 포함된다. 지속적 흐름: 데이터 스트림에는 시작도 끝도 없다. 요구되는 만큼 데이터를 끊임없이 지속적으로 수집한다. 고유성: 정확한 실시간 데이터 처리가 중요하다. 비균질성: 데이터 변형을 처리할 수 있는 기능이 있어야 한다. 불완전성: 소스의 일시적인 오류는 스트리밍된 데이터 내의 요소에 손상 또는 누락을 유발할 수 있다. 사용되는 이유(중요한 이유) 무한한 데이터 볼륨: 스트림 소스로부터 생성된 데이터 볼륨은 굉장히 크기 마련이고, 이에 따라 스트리밍 데이터의..

Backend 2024.03.18

[섹션 7] 조회 빈이 2개 이상 - Autowired 필드명, @Qualifier, @Primary

본 게시물은 김영한 선생님의 강의를 학습하며 작성하였습니다. 두 개의 컴포넌트 annotation을 달 경우에 아래와 같은 에러 문구가 뜬다. 하나의 빈을 기대했는데 2개가 나왔다고 알려준다!! 하위 타입으로 짖어할 수도 있는데, 하위 타입으로 지정하는 것은 DIP를 위배하고 유연성이 떨어진다. 그리고 이름만 다르고, 완전히 똑같은 타입의 스프링 빈이 2개 있을 때 해결이 안된다. 스프링 빈을 수동 등록해서 문제를 해결해도 되지만, 의존 관계 주입에는 해결하는데 다양한 방법이 있다. 조회 대상 빈이 2개 이상일 때 해결 방법 @Autowired 필드 명 매칭 @Qualifier → @Qualifier 끼리 매칭 → 빈 이름 매칭 @Primary 사용 @Autowired 필드 명 매칭 autowired는 ..

Backend/Spring 2024.03.18

[섹션 7] 롬북과 최신 트랜드

본 게시물은 김영한 선생님의 강의를 학습하며 작성하였습니다. 막상 개발을 해보면, 대부분이 다 불변이고, 그래서 생성자에 final 키워드를 사용하게 된다. 🤔 그러나 생성자도 만들어야 하고, 주입 받은 값을 대입하는 코드도 만들어야 하고… 필드 주입처럼 간편하게 사용하는 방법은 없을까?! 아래 코드를 최적화하도록 해보겠다. 롬북 라이브러리 셋팅 repositories { mavenCentral() } dependencies {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 //lombok 라이브러리 추가 시작 compileOnly 'org.projectlombok:lombok' annotationProcesso..

Backend/Spring 2024.03.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