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gorithm

[백준] 1193번-분수찾기 (Python)

지미닝 2022. 6. 23. 22:55

문제 

무한히 큰 배열에 다음과 같이 분수들이 적혀있다.

1/1 1/2 1/3 1/4 1/5
2/1 2/2 2/3 2/4
3/1 3/2 3/3
4/1 4/2
5/1

이와 같이 나열된 분수들을 1/1 → 1/2 → 2/1 → 3/1 → 2/2 → … 과 같은 지그재그 순서로 차례대로 1번, 2번, 3번, 4번, 5번, … 분수라고 하자.

X가 주어졌을 때, X번째 분수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X(1 ≤ X ≤ 10,000,000)가 주어진다.

출력

첫째 줄에 분수를 출력한다.

예제 입력 1 

1

예제 출력 1 

1/1

예제 입력 2 

2

예제 출력 2 

1/2

예제 입력 3 

3

예제 출력 3 

2/1

예제 입력 4 

4

예제 출력 4 

3/1

예제 입력 5 

 

5

예제 출력 5 

2/2

예제 입력 6 

6

예제 출력 6 

1/3

 

예제 입력 7 

 

7

예제 출력 7 

1/4

예제 입력 8 

8

예제 출력 8 

2/3

예제 입력 9 

9

예제 출력 9 

3/2

예제 입력 10 

14

예제 출력 10 

2/4

 

 

 

코드

n = int(input())

width = 0
tmp = 0

while width*(width+1)/2 < n:
    width+=1
    tmp += width

if width%2 != 0:
    print("%d/%d"%(tmp-n+1,width-tmp+n))
else: print("%d/%d"%(width-tmp+n,tmp-n+1))

 

풀이

풀이 단계

1) 규칙 발견

2) 변수 설정

3) 해보기

 

1) 규칙발견

대각선으로 규칙이 있음

분모는 +1씩 분자는 -1씩 됨

이것도 근데 짝수, 홀수번째 대각선에 따라 다름

짝수일 때와 홀수일 때의 경향성이 반대가 된다

 

2) 변수 설정

1. 몇 번째 대각선인가? (width)

while문을 활용하여 찾아냄

n 값이 width*(width+1)/2보다 커지기 직전까지 width를 1씩 더해주면 n th 값 까지 갔을 때 까지 거친 대각선의 개수를 알 수 있음.

이걸 찾는 순간 지난 칸 수도 알게됨.

tmp += width로 tmp를 찾음

 

2. 대각선에서 왼쪽 기준 몇 번째인가? (tmp-n+1)

tmp-n+1을 할 경우에 왼쪽 기준에서 몇 번째인지 알 수 있음.

 

3)해보기

print문에 문자열 포멧팅 방법을 바꿔서 인쇄해봄. f스트링도 되긴함.

여튼 만든 변수로 값을 찾아보면

대각선이 짝수th일 때,

분모는 nth이 뒤일 수록 -1이 되고, 분자는 +1이 된다.

즉,

분모는 대각선에서 몇 번째인지

분자는 대각선 성분의 개수-대각선에서 몇 번째인지

가 빠짐.

(같은 대각선 상의 분수들의 분자+분모 값은 일정함을 이때 알 수 있음)

 

이를 활용하여 대각선이 짝수번째 일 때의 출력문을 입력할 수 있고, 홀수번째일 때는 그냥 알아서 역수이기 때문에 간단하게 풀 수 있음.